본문 바로가기
생활이야기

청년월세 특별지원 지원대상, 신청방법

by mvpkim 2023. 2. 9.

경기 불황속에 취업 또는 학업에 의해 독립하여 월세 살이를 하는 청년들 대다수가 주거비 부담으로 상당히 고초를 겪고 있을 것입니다. 정부는 청년들의 이러한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월세금액 중 일부를 지원하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을 22년부터 24년까지 시행한다고 합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복지로 홈페이지

- 목  차 -

●  지원내용
 지원대상
 제외대상
●  신청방법
●  신청기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지원내용

 

월세 거주 중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12개월간 월 최대 20만 원씩 총 240만 원을 분할하여 월세금 지원합니다.

임차보증금, 관리비 등은 제외 후 지원합니다.

주거급여를 받는 경우 월마다 받는 주거급여 분할 금액을 차감한 금액만 지원합니다.

사업기간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한시적으로 시행합니다.

 

 

※ 지원대상

 

부모님과 별도로 독립하여 거주 중인 만 19 ~ 34세 이하인 청년입니다.

무주택자이며, 임차보증금 5천만 원 +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하는 자입니다.

월세가 60만 원 초과하여도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70만 원 이하인 경우도 가능합니다.

동일기준 청년 2인 동일 주택에 거주 시 1명에게만 지원합니다.

청년독립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며,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 가능합니다.

(청년독립가구 : 배우자와 자녀 포함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민법상 가족)

(원가구 : 청년독립가구 + 부모님 포함)

 

제외대상

 

주택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분양권 및 입주권 포함).

2촌 이내 가족의 주택을 임차한 경우.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보증금이 5천만 원 초과인 주택일 경우.

1개의 방에 여러 명이 거주하는 전대차 방식의 경우.

지자체에서 별도로 월세지원을 받는 자는 제외.


신청방법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페이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신청 페이지

 

신청기간 : 2022. 8월 ~ 2023. 8월까지입니다.

신청 방법은 관할 주소지 주민센터에 방문하시거나,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방문 신청은 본인이 직접 가셔서 신청해야 하지만, 불가피한 경우 대리인 위임장과 대리인 신분증을 지참하시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번호로 문의하시면 빠른 상담 가능합니다. 

☎ 1600 - 0777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콜센터)

☎ 1599 - 0001 (국토교통부)

 

끝으로 주변분들 중 조건에 부합하지만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에 대해 모르고 계신 분들이 계신다면

꼭 정보 전달해 주셔서 그분의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어주실 수 있길 바랍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