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과세자3 간이과세자에서 일반과세자 전환 - 절세방법, 유의사항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이과세자에서 일정기준(8천만 원 이상)의 매출상승으로 일반과세자로 자동 전환되었을 경우 또는 거래업체의 세금계산서발행 요구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간이과세에서 일반과세로 전환해야 할 경우에 전환방법 그리고 신고방법과 절세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1. 간이과세에서 일반과세로 자동전환 되었을 경우. 2. 의도적으로 일반과세자 전환하는 방법.(간이과세 포기 신고) 3. 절세방법. 4. 유의사항. 1. 간이과세에서 일반과세로 자동전환되었을 경우. 현재 하는 사업이 일정 부분 성장하고, 매출상승으로 이어져 간이과세 기준을 벗어났을 경우 자동으로 일반과세로 전환되는데요. 전환 기준은 전연도 총매출이 8천만 원 이상이 되면 일반과세자로 분류가 됩니다. 이런 매출 성장의 경우에는 사업자 .. 2023. 1. 14. 개인사업자 사업자등록증 신청 신고방법에 대하여 사업자등록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로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를 가진 사업자를 세무관서의 대장에 수록하는 것"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사업을 하려면 필히 사업자 등록을 하여야 하는데 쉽게 말해서 사업을 하기 위한 면허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 목 차 - 1. 사업자등록 이유 2. 등록신청절차 3. 세금 신고 및 납부기한 1. 사업자등록 이유 사업장을 등록하는 이유는 관할 세무서에 사업내용과 사업 개시 사실을 신고하고 정보를 등록하여 권한을 허용받는 것이며, 국세청에 납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서입니다. 신규 사업등록은 사업 개시일 전에 등록 가능하며, 사업 개시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 세무서에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 기준 사업자등록을 해야 되는지 안.. 2023. 1. 4. 부가가치세란 무엇인가? 부가가치세란? 쉽게 말해서 물건을 구입하거나,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을 때 그 가격에 일정 비율이 붙게 되는 세금이다.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의 제공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가가치에 대하여 과세하게 되는 세금이다. 다른 조세를 과세표준으로 하여 일정한 세율로서 납세의무자에게 부과 징수하는 조세를 말한다. 부가세는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지방소비세 및 지방교육세가 있다. 이론상 세액의 계산과 징수에 있어서 매출세보다 훨씬 합리적인 조세이다. 부가가치세를 도입한 이유는 세제 세정의 간소화와 간접세의 안전 환급에 의한 수출 및 투자의 촉진과 물가 누적 상승 요인을 제거하며, 세금계산서의 수수료에 의한 탈세를 예방하여 근거과세를 구현하려 함에 있다고 한다. @ * 부가가치세 계산 물건값에 포함되어 있는 부가가치세를 최.. 2022. 7. 9. 이전 1 다음